본문 바로가기
햄릿슈의 자기계발/자격증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2017년 2월 5일) 풀이 2일차

by 햄릿슈 2017. 10. 16.

어제에 이어서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2017년 2월 5일자 2일차이다. 현재 포스팅을 하고 있는 오늘은 10월 10일로 황금연휴가 끝난 다음날이다. 10일이라는 긴 기간을 쉬어서 그런지 추석 연휴 후유증으로 약간의 화요병을 겪을 줄 알았지만 오히려 많이 쉰 것이 도움이 된 것인지 아무렇지도 않다. 지금까지 필기 기출문제를 2회 정도 풀어본 상태인데 저번과는 달리 비슷한 문제들이 1~2문제씩 보이는 것 같아서 약간은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3회까지는 별로 도움이 안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반복되는 문제라던지 용어들이 나오는 것이 반갑다고나 해야할까. 조금씩 속도를 높혀서 10월 22일에 있는 필기시험에 합격할 수 있는 실력을 만들고 싶다.
-관련글
2017/10/1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2017년 2월 5일) 풀이 1일차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2017년 2월 5일) 풀이 2일차

 

[해설] UDP(User Datagram Protocol)
가. 기본적으로 TCP는 접속형, UDP는 비접속형이다.
나. UDP의 약자 중 D가 Datagram이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그램에 담아서 전송하면 된다고 기억하면 쉬울 듯 하다.
다. UDP 헤더의 크기는 8바이트이다. UDP 헤더의 구조에 대해서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니 한번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UDP 헤더의 구조
Source Prot / Destination Port(송신 포트/수신 포트) : 송수신 프로세스에 할당된 네트워크 포트 번호이다.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구분하는데 이용된다.
Length(길이) : 프로토콜 헤더를 포함한 UDP 데이터그램의 전체 크기이다. 단위는 바이트이고 UDP 헤더의 크기가 8바이트이므로 최소값은 8이다.
Checksum(체크섬) : 프로토콜 헤더와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 값을 제공하여 수신자가 데이터그램 변형 오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라. 세그먼트를 보내는 것은 TCP이다.

추가적으로 TCP는 양방향, UDP는 단방향이기 때문에 UDP가 속도가 더 빠르다.

[정답] 라



[해설] telnet 접속 방법
telnet [IP Address] [Port Number]
비슷한 문제가 출제되는 듯 하니 꼭 기억하기 바란다.

[정답] 나



[해설]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
하드웨어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반대로 ARP는 IP 주소를 하드웨어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ARP와 RARP도 빈번하게 출제되는 듯 하니 둘의 개념은 확실히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정답] 다



[해설] NMS(Network Management Solutio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상의 전 장비들에 대한 중앙 감시 등을 목적으로 모니터링, 계획 및 분석이 가능하고 관련 데이터를 보관하여 필요 즉시 활요하는 망감시 및 망성능 관리용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관리용 프로토콜
중소규모의 TCP/IP 기반의 기본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
대규모 망에 대한 프로토콜로는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를 사용
보기에는 CMIP가 없으므로 일반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SNMP가 정답인듯 하다.

[정답] 다



[해설]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FTP와 마찬가지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FTP보다 더 단순한 방식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자체적으로 하드디스크를 보유하지 못한 네트워크 터미널이 원격 서버에 저장된 부팅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해 시스템을 초기화하는데 사용한다.

다. TFTP는 TCP가 아닌 UDP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빠르다. (FTP는 TCP를 사용한다)

[정답] 다



[해설] IPv6 헤더 형식

우선순위
Priority 필드는 송신 호스트가 패킷을 전송할 때 특정 패킷의 우선순위를 높이는 용도로 사용한다. 혼잡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선순위를 단순히 8단계로 부여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패킷이 먼저 버려지는지를 판단한다.

[정답] 나



[해설] TTL(Time to Live) / 폐기 잔여시간 : DNS에서 권한있는 네임서버는 특정 리소스 레코드의 TTL 값을 설정한다. 재귀적 캐시 네임서버가 권한있는 네임서버에 질의를 보낼 때 캐시 네임서버는 그 레코드를 TTL 값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캐시에 저장해둔다.
DNS서버의 TTL은 캐시와 관련이 높다라고 기억하면 될 듯 하다.

[정답] 나



[해설] 순서 제어(Sequence control)
패킷 교환망의 망내 제어 기능의 하나이며 패킷의 순서를 감시하여 상이한 루트를 경유한 것 등에 의해 순서가 역전하여 도달한 여러 개의 패킷 순서를 고치고 단말에서 입력한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 안에 답이 있는 문제라 오답률이 높지 않은 문제인 듯 싶다.

[정답] 가



[해설] 변조(modulation)
통신에 있어서 신호는 통신로에 적합한 형으로 변환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를 위한 조작을 변조라고 한다.

[정답] 가



[해설] IEEE 802
IEEE 802.3 CSMA/CD, 이더넷(Ethernet)
IEEE 802.4 토큰 버스(Token Bus)
IEEE 802.5 토큰 링(Token Ring),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삼더넷(Ethernet)이 4번 버스(토큰 버스)를 타서 5개의 링(토큰 링)을 냈다'로 이상한 방식으로 외워보도록 해야겠다.

[정답] 나

-관련글
2017/10/0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하루 5문제 문제풀이 1일차
2017/05/08 - 2017년 2회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시험 솔직 후기
2017/08/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6회 고급(1급,2급) 불합격 솔직후기
2017/08/31 - 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 타전공 학사 최저가 학위취득 솔직후기
2017/09/01 - 야나두 기초 영어회화 프리패스 1달 수강 솔직후기
2017/09/15 - 불합격만 11번? 컴퓨터활용능력 1급 눈물의 솔직 합격후기